티나의 행복한 하루!
안녕하세요😄
오늘은 "돌상차림의 의미와 유래"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저희 딸아이의 돌잔치를 준비하며,
제가 직접 차린 돌상을 토대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전통 돌상 대여 업체를 통해 진행하였고,
돌 상 위에 올라간 모든 음식은
제가 직접 주문하고 제작하였습니다.
돌상차림 대여를 하니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쉽고 예쁘게 우리아이의 돌상을 차려 줄 수 있었습니다.
저도 이제 돌끝맘입니다. 야호!
자 , 그럼 지금 부터 저와 함께
돌잔치의 의미와 돌의 어원부터 살펴볼까요?
셀프 전통 돌상차림
돌상이란?
아기가 태어난지 만 1년이 되는 날
생일에 차려주는 상차림
돌상차림
돌상에 올라는 상차림의 음식들은 복을 받고
액을 멀리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돌잔치의 기원
옛날 시절에는 현대와 같이 의학이 발달하지 못하던 시 절이었기 때문에
아기들의 사망률이 현저히 놓았다고 한다.
그러므로 1년간 무탈하게 아기가 성장하여,
첫돌을 맞는 일 또한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모들은 아기의 생일중에
첫돌을 특별히 여겨 동네 사람들과 함께 기뻐하며 잔치를 베풀었다.
이러한 풍속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전래되어
지금까지 도시와 농촌 모두 국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옛 풍속입니다.
예부터 돌잔치를 행한 기록은 <지봉유설>과 <국조보감>에 실려있다.
이것으로 보아 돌잔치는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행하여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통 돌상차림에는
백반, 미역국, 송편, 백설기 , 수수팥떡, 푸른나물 등을 상에 차리고
쌀, 국수 , 대추, 흰색 타래실 청홍색 타실, 벼루, 붓, 돈, 자, 활, 책 등을
상위에 가지런히 차려놓는다.
현대에는
돌상차림에는 백설기, 송편 이외에도 인절미 , 수수경단 등
여러 종류의 떡을 추가로 차려놓는 경우도 있다.
전통 돌상차림
이제 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의 의미를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볼까요?
송편은 배가 볼록 나와 찬 것과 같은 모양이므로
배부르게 먹고살으라는 식복을 의미합니다.
수수경단은 붉은빛으로 액운을 면하라는 뜻이 있다.
백설기는 깨끗하고 순수한 정신세계를 뜻한다.
쌀은 살면서 식복이 많으라는 뜻에서 밥그릇에 밥을 수북이 담아 놓는다.
또한 수명장수를 비는 뜻에서
국수와 타래실을 놓고 미나리 등의 나물도
자르지 않고 길게 놓는다.
저는 싱싱하고 강인한 생명력의 상징인 미나리와
부부금실을 뜻하는 청실홍실을 묶어 상에 올렸답니다.
돈은 부를 비는 뜻에서 놓으며
책은 학식, 붓과 먹, 벼루를 놓는 것은
학문을 익히고 재주가 많으라는 뜻이 있다.
여아에게는,
손재주를 뜻하는 의미에서
자와 실을 놓는다.
남아에게는,
무운과 용맹의 상징으로 화살과 활을 놓는다.
상은 아이가 모나지 않고 둥글게 자라길 바라는 뜻에서
둥근 소반을 올려놓고,
음식을 담아내는 그릇은 유기그릇을 사용하여
아이가 유기그릇처럼 은은한 빛깔로 자라길 바라는 마음을 비는 의미라고 합니다.
돌잡이 용품
"이것이 가장 기본의 돌상차림이며 돌장이가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며
식생활을 영위할 준비를 해주는 매우 깊은 뜻이 담긴 돌상차림의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음식(윤서석, 수학사, 1980)
이렇게 돌상차림에는 숨은 의미가 많습니다.
아이를 둔 부모가
아이의 장수와 건강 , 입신양명을 바라는 한마음은
시대가 흘러도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어요
저희 집 공주님은 이번 돌잡이 때 판사봉과 책을 잡았어요~
집에서 한 돌잔치였지만.
역시 돌잔치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돌잡이 겠죠?
저는 어떤 것을 잡아도 좋았는데 판사봉을 잡아서 기분이 더더 좋았어요~
부모 욕심이겠죠?
보통 전통 돌상과 현대식 돌상은 차이가 조금 있지만
기본적인 돌상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예인에 대한 인식이 과거에 비해
좋아지면서 마이크를 두기도 하며,
시대에 맞게 재밌는 돌잡이 용품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제가 올려드린 돌상과 돌잡이 용품에 대한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소중한 내 아이가 세상에 태어난 지 1년이 되는 날,
치르는 돌잔치만큼 또 기쁘고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까요?
여러분은 삶의 가장 중요한 의미를 무엇에 두시나요?
저는 살아가면서 성공과 부귀영화도 좋지만,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두 건강한 하루하루 보내시고 또 알찬 소식으로 돌아올게요~
이상 돌상차림과 돌잡이 용품 정리를 마칠게요!